엔트로피(Entropy)와 크로스 엔트로피(Cross-Entropy)의 쉬운 개념 설명



엔트로피는 머신러닝을 할 때, loss function(손실 함수) or cost function으로써 많이 사용됩니다. 용어에 대하여는 많이 들어보았지만 직관적으로 다가오지가 않아서 한 번 정리해보았습니다.

1. Entropy

엔트로피는 불확실성의 척도입니다. 정보이론에서의 엔트로피는 불확실성을 나타내며, 엔트로피가 높다는 것은 정보가 많고, 확률이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H(x)=−\sum_{i=1}^{n} p(x_i) log{p(x_i)}\]

이런 설명과 수식으로는 처음에는 와닿지가 않습니다. 제가 이해한 불확실성이라는 것은 어떤 데이터가 나올지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라고 받아들이는 것이 더 직관적입니다. 예시를 통해 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1.1. 예시 _ 동전 던지기 & 주사위 던지기

  • 동전을 던졌을 때, 앞/뒷면이 나올 확률을 모두 1/2라고 하겠습니다.
  • 주사위를 던졌을 때, 각 6면이 나올 확률을 모두 1/6이라고 하겠습니다.

위의 두 상황에서 불확실성(어떤 데이터가 나올지 예측하기 어려운 것)은 주사위가 더 크다고 직관적으로 다가옵니다. 이를 수식적으로 계산하면 각각 아래와 같습니다.

  • $ H(x)= -\left( \frac{1}{2} log{\frac{1}{2}} + \frac{1}{2} log{\frac{1}{2}} \right) $
  • $ H(x)= - \left( \frac{1}{6} log{\frac{1}{6}} + \frac{1}{6} log{\frac{1}{6}} + \frac{1}{6} log{\frac{1}{6}} + \frac{1}{6} log{\frac{1}{6}} + \frac{1}{6} log{\frac{1}{6}} + \frac{1}{6} log{\frac{1}{6}} \right) $

동전의 엔트로피 값은 약 0.693, 주사위의 엔트로피 값은 1.79 정도로 주사위의 엔트로피 값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무엇이 나올지 알기 어려운 주사위의 경우가 엔트로피가 더 높은 것이죠.

image

이를 위의 그래프를 통해 살펴보면 이렇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H(x)=−\sum_{i=1}^{n} p(x_i) log{p(x_i)}\]

위의 수식을 아래의 수식으로 바꿔봅니다.

\[H(x)=\sum_{i=1}^{n} p(x_i) \left( -log{p(x_i)} \right)\]

$ p(x_i) $은 각각의 요소들이 나올 수 있는 확률값입니다. 모든 요소들이 나올 확률이 동일하다면, $ -log{p(x_i)} $ 값도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식을 간결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p(x_i) $ 값의 총 합은 1이기 때문에, 그러므로 수식은 $ H(x)=\sum_{i=1}^{n} p(x_i) \left( -log{p(x_i)} \right) = -log{p(x_i)} $이 됩니다. $ x $ 값이 작아질수록 -logx 값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집니다. $x$가 작아진 것 보다 $log{x}$가 커지는 폭이 훨씬 크기 때문에, 전체 엔트로피는 증가하는 것입니다.

1.2. 공 꺼내기

다른 예시를 통해서 이해를 좀 더 돕겠습니다.

  • 전체 공이 100개이다. 공 하나만 빨간색이고, 나머지는 모두 검은색이다.
  • 전체 공이 100개이다. 공 50개는 빨간색이고, 나머지는 모두 검은색이다.

위의 경우에는 직관적으로 첫 번째 사례에서 검은 색이 나올 확률이 높으니 불확실성이 적겠군 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엔트로피를 계산하면 후자가 훨씬 크게 나옵니다.

2. Cross-Entropy

\[H_p (q)=−\sum_{i=1}^{n} q(x_i) log{p(x_i)}\]

크로스 엔트로피는 실제 분포 $ q $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모델링을 통하여 구한 분포인 $ p $를 통하여 $ q $ 를 예측하는 것입니다. $ q $와 $ p $가 모두 들어가서 크로스 엔트로피라고 한다고 합니다.

머신러닝을 하는 경우에 실제 환경의 값과 $ q $를, 예측값(관찰값) $ p $를 모두 알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머신러닝의 모델은 몇%의 확률로 예측했는데, 실제 확률은 몇%야!라는 사실을 알고 있을 때 사용합니다.

크로스 엔트로피에서는 실제값과 예측값이 맞는 경우에는 0으로 수렴하고, 값이 틀릴경우에는 값이 커지기 때문에, 실제 값과 예측 값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엔트로피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출처

  • https://3months.tistory.com/436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oboholic84&logNo=221629115916&proxyReferer=https%3A%2F%2Flm.facebook.com%2F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onggeol93&logNo=221230536533&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