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프로세서(Coprocessor)란? 개념 정리
코프로세서(Co-processor or Coprocessor)는 CPU의 기능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세서입니다. 보조프로세서 또는 보조 처리기라고도 부릅니다.
코프로세서는 메인 CPU 프로세서에 집중된 작업들의 짐을 덜어 시스템 수행 속도를 빠르게 해줍니다. 이러한 코프로세서의 기능으로는 부동소수점 산술, 그래픽, 신호 처리, 문자열 연산, 암호화, 주변장치 입출력 등이 있습니다. 한 코프로세서가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한 가지 기능만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코프로세서는 여러 기능을 가진 고성능의 비싼 메인 프로세서를 구입할 필요 없이 필요한 기능만 가진 코프로세서를 추가하여 단가를 낮춰...
PCIe L1 PM Substates란? 개념 정리
PCIe Link 에서 L1 PM Substates는 아래와 같이 3가지 state가 있고, 각각 다른 특징을 가집니다. L1.1 substate 들은 제외하고 저전력 L1.2 의 substate 들에 대하여는 그림과 설명을 적어보았습니다.
L1.0 substate
Upstream & Downstream Port 에서 Electrical Idle exit을 감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L1.1 substate
Link common mode voltage 유지
L1.1 state에 들어가기 위하여 bidirectional CLKREQ# ...
PCIe LTR(Latency Tolerance Reporting)이란? 개념 정리
LTR (Latency Tolerance Reporting)은 end point device가 중앙 플랫폼 리소스 (예 : 메인 메모리, RC 내부 상호 연결, snoop resources 및 기타 리소스)와 같은, Root Complex의 메모리 읽기 및 쓰기에 필요한 서비스 대기 시간 요구 사항에 대한 정보를 보낼 수 있는 메커니즘입니다. 쉽게 말하여 Device가 Platform 에 요구하는 응답속도입니다.
엔드 포인트 기능 및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RC와 연결된 전원을 관리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플랫폼 전원 관리 (PM) 정책은 장치가 idle 상태 일 때를 추측합니다. 잘못 추측하면 성능 문제 ...
CDM(Crystal Disk Mark)이란?? 개념 정리
CDM(Crystal Disk Mark)의 기능
CrystalDiskMark는 Microsoft Windows OS 에서 동작하는 오픈 소스 디스크 드라이브 벤치 마크 도구(Open Source Disk Drive Benchmark Tool)입니다. HDD/SSD와 같은 저장장치의 Read/Write 속도를 측정하는 도구입니다. Microsoft의 MIT 라이센스 Diskspd 도구를 기반으로 하여 동작하며, 그래픽 벤치 마크는 일반적으로 SSD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됩니다.
Sequantial Read/Write, 4K Random Read/Write 를 측정 가능합니다. 측정한 결과를 보는 방법은 ...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의 종류와 특징 정리
1.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이란?
파일 시스템(file system, 문화어: 파일체계)은 컴퓨터에서 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발견 및 접근할 수 있도록 보관 또는 조직하는 체제를 가리키는 말이다.
파일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크기가 일정한 블록들의 배열(섹터라고도 불리며 통상 512바이트, 1키비바이트, 2키비바이트 같은 2를 제곱수만큼의 크기를 갖는다)에 접근할 수 있는 자료 보관 장치 위에 생성되어 이러한 배열들을 조직함으로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만들며 어느 부분이 파일이고 어느 부분이 공백인지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 배열에 표시를 해 둔다.
자료를 ‘클러스터’ 또는 ‘블록’이라고 불리는 일정...
Fix problem _ uart cable not working
Sometimes or some platforms, if you using uart cable, uart is not work. In teraterm, there is no port to connect. In my case, i see device manager. I saw that uart driver ttl232rg-vreg1v8(or other name) is not installed. In that time, you have to install driver.
Go to download page and download driver file for your OS. Download page
Unzip ...
Fast Boot & Fast Startup이란? 개념정리
Fast Boot
POST(Power-on self-test) 과정에서 특정 부분을 Skip하여 부팅 속도 증가
BIOS 옵션에서 Enable/Disable 설정 가능
Enable로 설정한 경우에 부팅 시에 바이오스(BIOS)를 진입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윈도우에서 Advanced Startup Option을 사용하여 BIOS에 진입할 수 있다.
각종 커뮤니티에서 부작용으로 인하여 Disable 권장
Fast Startup
종료하기 전에 사용하던 데이터들을 미리 저장장치에 저장해 놓고, 다음 부팅 때 불러와서 OS의 초기화 과정들을 Skip하여 부팅 속도를 증가시킴
Wind...
테라텀(Tera Term) 설정 저장, 로그 이름 설정 & 자동 저장
테라텀은 uart 통신 과정에서 주고받는 데이터를 확인할 때,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하지만 프로그램이 다소 사용하기 불편한 점이 있고 매번 설정이 초기화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테라텀을 열자마자 로그가 자동으로 저장되는 설정을 통하여 조금 더 편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포스팅해보았습니다.
설정 저장
원하는 설정으로 변경
메뉴 탭에서 setup > Save setup… 클릭
C:\Program Files (x86)\teraterm\TERATERM.INI 에 덮어쓰기(경로는 환경마다 달라질 수 있음. 테라텀이 설치된 곳에 있는 INI 파일에 덮어써야 함.)
로그 자동 저장 &...
집적회로가 아니라 트랜지스터만 사용하여 컴퓨터를 만든다면 어떻게 될까?
1. 직접회로 없이 컴퓨터 만들기
컴퓨터를 만들 때, 수 많은 트랜지스터(Transistor)를 활용한 집적회로(IC)를 만들었다는 것을 컴퓨터나 전자전기를 전공한 사람들은 대부분 알고 있을 것입니다. 트랜지스터의 개발은 매우 혁신적이었고 크기가 거대하고 잘 고장나는 진공관부터 시작하여 현재의 매우 소형화된 집적회로까지 사용되어오고 있습니다.
그러다 문득 ‘내가 직접 트랜지스터를 몇 개 이용해서 간단한 컴퓨터 환경을 만들 수는 없을까?’라는 생각이 들어서 그런 사례가 없는지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국내에서는 그런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었고, 국내 블로그에서 일본에서 그렇게 직접 만들어 본 사례를 포스팅하여 저도 궁...
내 연봉에서 세금을 뗀 월급은? 2020 연봉 실수령액 알아보기
연봉 실수령액 계산법
높은 연봉으로 회사와 계약을 맺는다고 하더라도 내 연봉은 실제로 훨씬 작습니다 ㅜㅜ 세금을 내고 나면 연봉은 급격하게 줄어들어버리죠. 연봉 실수령액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연봉 실수령액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계산했습니다. 아래의 금액은 4대 보험의 경우 기업과 절반씩 나눠 내는 것도 고려된 금액입니다.
국민연금 : 월 소득액의 4.5%
건강보험 : 월 소득액의 3.335%
장기요양 : 건강보험료의 10.25%
고용보험 : 월 소득액의 0.8%
소득세 : 국세청의 간이세액표 기준으로 공제
지방 소득세 : 소득세의 약 10%
위와 같은 계산법을 이용하여 엑셀에 20...
797 post articles, 80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