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llij] 현재 작업중(열려 있는) 에디터를 프로젝트 구조 탭에서 항상 확인(선택)하는 방법
Intellij에서 현재 에디터에 있는 파일이 항상 왼쪽 프로젝트 탭에서 선택되게 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저 같은 경우 이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 있을 때, 직접 해당 소스코드로 찾아가야되서 불편함을 느껴 이 기능을 활성화 시켰습니다. 프로젝트 구조에서 현재 파일을 어떻게 찾아야 할까요?? 방법은 매우 간단하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자동으로 확인하는 방법 : 항상 열려 있는 파일이 프로젝트에 올라올 수 있게
프로젝트 탭 상단의 오른쪽 톱니바퀴(설정버튼)을 선택한 후
항상 열려 있는 파일 선택(Select opened file or editor) 를 활성화시켜줍니다.
...
아이폰(ipados)/아이패드(ios) 크롬(Chrome)에서 번역기능 안될 때, 활성화하는 방법
구글 크롬을 사용하다보면 번역기능을 매우 자주 활용합니다. 영어로 된 문서를 볼 때, 영어를 잘하지 않으면 번역 기능은 사실 이제 필수인 것 같습니다. 이런 번역 기능을 활성화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폰/아이패드(ios) 크롬(Chrome)에서 번역기능 안될 때 조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위와 같이 처음에 영어 문서를 열었을 때, 번역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 있어서 번역을 할 수 없었습니다. 웹사이트에서는 정상적으로 되는데 왜 막혀있는지 모르겠지만,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방법을 아래와 같이 찾았습니다.
먼저 … 을 눌러 메뉴를 킨 다음, 설정 버튼을 눌러줍니다.
설정 메뉴...
[IntelliJ] Ultimate(Pro) Edition version License 입력하여 갱신(activate)하는 방법
1. Ultimate(Pro) version 특징
IntelliJ 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Ultimate(Pro) version 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런저런 기능이 Enterprise에서 주로 사용하는 Ultimate 에 기능이 엄청 많고, 우리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Community Edition 에서는 기능이 다소 부족합니다.
위와 같이 실제 지원되는 기능은 조금 차이가 많이 나는 편입니다. Community Edition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플러그인이나 Spring 개발에 더 많은 도움을 주는 기능들이 있어, 왠만하면 Ultimate 버전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 라이센스를...
블로그 주소 url http에서 https로 바꾸고 애드센스 광고 수익 상승, 구글은 보안 좋은 사이트 선호
기존에 블로그 운영을 할 때, 큰 생각 없이 http를 사용했었는데요. 구글의 경우 https를 훨씬 더 선호하고 구글 검색에서 노출을 더 잘 시켜준다고 합니다.
애드센스 사이트에 가면 https 사용을 권장하며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해줍니다.
최적화
사이트를 분석한 결과 잠재 수익을 늘릴 수 있는 새 추천이 하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HTTPS를 설정하여 사이트 보안 강화하기
HTTPS를 설정하여 사이트 보안 강화하기
영향
Google 검색에서 순위가 더 높아집니다.
보안이 강화되어 트래픽 도용이 감소함
브라우저 보안 표시줄의 녹색 자물...
[IntelliJ] 에디터 글자 크기 마우스 휠 스크롤로 조절하는 방법(크기 키우기/줄이기, 조정)
IntelliJ 에서 기본적으로는 마우스 스크롤을 이용하여 에디터의 텍스트 크기를 조정하지 못하게 되어있습니다. Mac의 Command 버튼(Windows에서는 Control) 을 누르면서 마우스 휠을 이용하여 스크롤을 하여 창 크기를 변경하는 것이 매우 편리한데, 이러한 기능을 On 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할까요??
Preference > Editor > General 메뉴에 들어가줍니다.
Change font size with Command+Mouse Wheel in: 옵션을 체크하여 활성화합니다.
위의 간단한 설정으로 휠을 이용하여 손쉽게 에디터 폰트 크기를 키울 수 있습니다!!
[Git/Github] reflog와 reset으로 실수로 잘못 변경한 rebase, merge, push를 이전 commit으로 되돌리는 방법
1. 기존 환경과 잘못 Merge 한 상황
feature/a branch : 생성 후, a1, a2, a3 3개의 커밋을 만들었습니다.
master branch : a1, a2, a3 커밋을 생성한 후에 master2, master3 커밋을 만들었습니다.
여기에 우리가 master에서 feature/a branch를 merge하였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위와 같이 잘 merge가 되었으나 되돌리고 싶은 때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이 때는 어떻게 해야될까요?
2. 변경사항 되돌리기
기존 코드 상태로 되돌리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git reflog 명령어를 활용하여 이전 hash 값을 확인한 후...
[Git/Github] Merge, Squash and Merge, Rebase and Merge란? 비교 및 개념정리
0. 공통환경
기존에 제가 알고 있는 git은, 사용할 때 단순히 merge 만 사용해서 충돌을 해결했습니다. 하지만 공부하다보니 다양한 전략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위와 같은 단순 Merge 방식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편하지만, 사람들이 많아지게 되고 commit과 branch가 많아지게 되면 복잡도가 높아지고, 단순히 Merge를 했을 때 보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팀과 상황마다 다른 전략을 취하게 되었고 대표적인 전략이 하기의 3가지입니다.
Merge
Squash and Merge
Rebase and Merge
위 3가지 전략의 차이를 확인하기 ...
6개월만에 연봉 두 배로 올린 문과출신 판교 개발자 이야기(이직 꿀팁) _ 시골쥐의 도시생활님 영상 리뷰
영상 링크 : 6개월만에 연봉을 두 배로 올린, 문과출신 개발자 친구를 소개합니다. (ft. 이직 꿀팁)
시골쥐의 도시생활 님이 올리신 ‘6개월만에 연봉을 두 배로 올린, 문과출신 개발자 친구를 소개합니다. (ft. 이직 꿀팁)’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간단하지만 저한테도 자극이 되고 많은 인사이트가 되는 영상이었습니다. 저는 전공자 출신임에도 이 분보다 더 저를 어필하지 못했고, 지금까지 멋진 개발 생활을 이어가지 못한 것 같습니다. 자극을 받으며 저를 성장시켜야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분당 어딘가에서 친구랑 이야기하시며 편하게 영상을 제작하여 부담 없이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이야기에 나오시는 분...
[Git] Github private repository(개인 저장소) cli로 clone 하는 방법? 정리!
Github에서 private repository(개인 저장소)를 만들고, 해당 repo를 clone 받으려면 아래와 같이 not found 오류 메세지가 나옵니다. (username은 meme / github_my_repo라는 private repository 에 접근하는 경우 아래와 같습니다)
$ git clone 'https://github.com/meme/github_my_repo.git'
Cloning into 'github_my_repo'...
remote: Repository not found.
fatal: repository 'https://github.com/meme/github_my_repo...
[Node/Yarn Issue] On CocoaPods installing glog (0.3.5) error, C compiler cannot create executables
1. Problem
When i used CocoaPods, i met problem. When yarn install Installing glog (0.3.5), there was a problem.
Yarn tried installing glog (0.3.5) error, but yarn show under message! C compiler cannot create executables..
Installing glog (0.3.5)
[!] /bin/bash -c
set -e
#!/bin/bash
# Copyright (c) Meta Platforms, Inc. and affiliates.
#
# Thi...
864 post articles, 87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