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Macbook 에서 Sleep Mode Disabled(잠자기 or 절전모드 비활성화) 되어 있을 때, 해제하는 방법

1. 잠자기 비활성화 상태 맥북 프로를 사용하면서 이동하면서 사용할 때에는 전원 소비를 적게 해야할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하기 위하여 맥북의 Sleep, 잠자기 모드를 수행하려고 했는데 아래와 같이 잠자기 부분이 회색인 상태(grey state)로 동작할 수 없었습니다. 굉장히 불편하여 방법을 찾아 공유드립니다 :) 2. 해결방안 2.1. Terminal 명령어 입력 수행해야되는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sudo pmset -g 를 통하여 현재 잠자기 모드를 확인합니다. sudo pmset -a disablesleep 0 를 이용하여 잠자기 모드를 다시...

Read more

최대 128GB DDR5 CAMM 메모리 대용량 노트북 메모리 폼펙터 사용, Dell Precision 2022 출시

1. Dell 의 새로운 노트북 출시 Dell은 최대 16개의 코어가 있는 Intel의 Alder Lake-HX CPU를 기반으로 하는 가장 빠른 Precision 노트북을 출시 합니다. 새로운 노트북 라인업에 Precision 7770, Precision 7670 및 Precision 5470 Anniversary Edition이 포함됩니다. 하기와 같이 Dell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굉장히 고사양의 스펙을 가진 노트북입니다. CPU : 플래그십 모델부터 Dell Precision 17” 노트북은 Intel의 Core i5 및 최대 55W의 TDP를 가진...

Read more

데이터센터 열 활용 방법 (일본의 장어 양식 부업, 난방에너지 활용 등)

1. 데이터센터의 증가와 열 활용에 필요성 증가 최근 점점 IT 서비스가 발전하게 되면서 데이터센터에 대한 필요도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서, 데이터센터에서 방출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되는 필요성이 제기되었습니다. 데이터센터에서는 방출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어떤 방법을 사용하고 있을까요? 아래에 사례들을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아래의 사례에서 효율점을 본받아 국내에서도 열을 잘 활용하여 불필요한 비용은 줄이고, 효율적인 사용으로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고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필요해보입니다. 2. 활용사례 2.1. 일본 데이터센터의 부업. 장어 양식 일본 데이터센터의 부업...

Read more

Programmer(SW engineer)가 알아야 할 서버 동작 별 지연 시간(Latency Numbers)

1. 성능 관련 사이트 소개 성능 관련하여 요새 이런저런 자료들을 찾아보고 있습니다. 그러던 와중 Programmer(SW engineer)가 알아야 할 서버 동작 별 지연 시간(Latency Numbers) 와 관련된 내용을 알게 되었습니다. 2010년 Google의 Jeff Dean 은 Stanford에서 컴퓨팅 시스템과 관련된 숫자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이후, Colin Scott이라는 엔지니어가 자신의 github에 이 수치를 정리하여 아래와 같이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https://colin-scott.github.io/personal_website/research/interactive_laten...

Read more

이스케이프 시퀀스(escape sequence)란? 개념정리(feat. c++, python)

1. 개념 이스케이프 시퀀스(escape sequence) 제어 시퀀스(control sequence)라고도 불리는, 프로그래밍 언어 특성상 표현할 수 없는 문자나 기능을 표현해주는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에서 " 를 출력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는 대부분의 언어에서 문자열(String) 타입을 표현할 때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를 그냥 쓰면 “를 출력할 수 없고, \" 와 같은 방식으로 작성하여 출력하게 됩니다. 1.1. Python의 이스케이프 시퀀스 이스케이프 시퀀스(escape sequence) 의미 ...

Read more

SMBus(System Management Bus)란? 개념 정리

시스템 관리 버스(System Management Bus; SMBus 또는 SMB)는 마더보드(메인보드)에 있는 저속도 장치들과 통신하는데 사용하는 간단한 2선(two-wire) 버스이다. 주로 랩탑 컴퓨터의 충전지 하위체제(스마트 배터리 데이터 참조)와 같은 전력관리칩에 쓰이며, 그 외에 온도 센서와 리드 스위치 같은 장치들에도 사용된다. reference 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C%8A%A4%ED%85%9C_%EA%B4%80%EB%A6%AC_%EB%B2%84%EC%8A%A4

Read more

포팅(Porting), 툴체인(Toolchain)이란? 개념 정리

어떤 한 환경을 가진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이미 만들어져 있는 소프트웨어를 다른 환경을 가진 플랫폼에서 동작할 수 있게 하는 일련의 행위입니다. 어느 한 프로세서에서 동작하는 OS(운영체제)를 다른 종류의 프로세서에서 동작할 수 있게 설정해 주는 것입니다. 필요한 OS 가 있을 경우 다른 프로세서에 알맞게 포팅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포팅을 하는 경우, 개발자가 사용하는 작업 머신인 Host와 Target 머신이 서로 다릅니다. Host와 Target이 이기종(서로 다른 종류)일때 Host가 Target에서 실행되는 실행파일을 생성하는 컴파일러를 보유하고 실행파일을 컴파일합니다. 이러한 컴파일러를 ‘크...

Read more

Windows Performance Analyzer (WPA) 란? 개념 정리

Windows Performance Analyzer (WPA)는 Windows OS 와 application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performance monitoring tools 들이 모여있는 도구입니다. MS가 설명하는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test/wpt/windows-performance-analyzer 페이지에 들어가서 확인하면, WPA는 Windows Assessment and Deployment Kit (Windows ADK) 내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ADK는 MSDN https://my.visualstudio.com...

Read more

AWS 털린 회고 ㅜ 반드시 2중 보안 OTP 설정, MFA(Multi Factor Athentication) 세팅하자!

이전에 AWS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만들기 위하여 계정을 만들었던 적이 있습니다. React + Spring Boot 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작하였고, Elastic BeanStalk 를 이용하여 로드밸런싱/오토스케일링과 같은 기능을 편하게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다가 계정을 만든지 얼마되지 않아 ID/PW 가 노출되었는지 갑자기 AWS에서 메일이 날라왔습니다. 이후 계정은 로그인은 정지되었습니다. 로그인을 위해서는 설정되지 않은 MFA 값을 넣어주어야했습니다. AWS에 추가 인증 설정을 하기 위하여 수많은 메일을 쓰고 상담원과 전화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던 경험이 있습니다. 혹시 요금이 어마어마하게 나오지 않았을까 조마...

Read more

2FA(Two-factor authentication, 2단계 보안 인증)란? 개념정리

2FA(Two-factor authentication, 2단계 보안 인증) 은 계정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기존의 ID/PW를 입력하는 방식에서, 추가 인증을 도입시킨 보안설정입니다. 로그인을 하는 경우에 그 사람이 계정의 실제 소유자인지 확인하여 계정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는 보안 절차를 하나 더 진행합니다. 기존의 방식처럼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2FA가 적용된 로그인 방식에서는 추가로 요청받은 정보를 입력합니다. 다양한 방식의 2FA 방식이 존재합니다. 예시로 아래와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간단한 답변에 대한 질문 email 추가 인증 인증된 모바일 기기에 OTP 인증방식 ...

Read more